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고등학교 졸업하고 사회 생활 시작할 때, 선배중에 제일 이해하기 힘든 사람이 업무시간에 주식 하는 사람이었다.

그 사람의 일을 모조리 내가 커버해줘서도 이지만, 고등학교 갓 졸업한 햇병아리가 저축말고 다른 경제활동을  이해할 리 만무했다.

 

그 뒤로 직장생활이 계속 되다 보니 저축말고 다른 경제 활동을 이해하게 되고, 

어느순간부터는 학생때 부터 주식등의 경제활동을 부추기는 듯한 사회 분위기 마저 형성되는게 느껴졌다.

 

가끔은 천박한 자본주의 라고 이런 분위기를 폄하하곤 했지만,

한편으론 IMF 시대 이후로 미국식 자본주의로의 변화에 소심하게 반항하는 나라는 꼰대를 발견하곤 했다.

 

어느덧 가정도 생기고 은퇴에 대해서 생각하다보니 주식 시장을 외면해선 미래를 준비하기 어렵다는 걸 느끼게 되었다.

내 일 커버 해 줄 후배도 없고, 차트 처다보며 그냥 법칙따라 투자하는 건 싫고,

그리고 직접 투자의 위험 부담이 싫어 그냥 괜찮은 펀드를 골라 잘 오르기만을 기도하는 수 밖에 없었다.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 투자"를 읽으면서 일찍 이런 책을 읽었으면 어땠을 까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책은 핀터스텔라 라는 Python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PER 등 다양한 주식 지표와 가치투자/성장주투자의 다양한 주식 투자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이를 핀터스텔라로 실제 구현해 보고, 미국 내 주요 기업을 예로 해당 투자 방법의 과거 성과를 보여준다.

 

물론 실제 퀀트 처럼 매수/매도를 직접 해 주지는 않지만,

투자 방법에 따른 매수/매도 시점을 다양한 지표를 가지고 찾아 낸다는 측면에서는 꽤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아마도 이런 걸 알고 있었다면 업무 시간에 시세표를 보면서 나한테 일만 시키는 그런 일을 없지 않았을 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으면서 문듯, 이런 퀀트 투자를 위한 라이브러리를 찾아 보니 생각외로 꽤 많은 라이브러리가 있는 걸 알게 됐다.

그리고 핀터스털라는 한국 개발자가 개발 운영하는 것도.. ( 와우 ) 

실제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단점을 찾기 어려운 꽤 괜찮은 라이브러리 였다.

 

예전에 우연히 "인공지능 투자자 퀀트" 라는 책을 읽고, 퀀트에 대해서 알게 되고, 조금은 먼 세상 얘기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퀀트라는 직업도 그리 멀게만 느껴지지는 않게 되었다.

 

지금 당장은 시간을 내기 어렵겠지만, 나만의 퀀트 프로그램을 구현해서 한 번 투자해 보는 거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Posted by headiron
,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인터넷 트레픽에서 PC를 압도하는 모바일 기기들..

몇 년전 부터 시작된 딥러닝 열풍, 

 

책을 받으며( 뭐 사실 e-book으로 받았지만 ) 360 페이지 밖에 안되는 책으로 두 기술을 함께 다룰 수 있을 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안드로이드, 텐서플로 개발 환경 에 대해서 다루는 두 Chapter를 읽을 때까지도 반신 반의였다.

 

근데 Chapter 6에서 부터 실제 구동되고, 실무로도 이용가능할 이미지 분류 앱을 단계별로 개발해 보면서 

안드로이드와 텐서플로 라이트에 대해서 중요한 부분만을 꼭 찝어 설명해 내는 것에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다만 아쉬운 건 안드로이드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내용도 많이 다룬 반면,

텐서플로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설명이 부족해, 어느정도의 선지식이 있어야 겠다는 생각은 들었다.

 

하지만, 텐서플로 전반을 다루다 보면 책이 너무 커질 것이고, 

텐서플로 라이트는 아직 발전하는 기술이기에

텐서플로를 안드로이드에 적용하는 실무적인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최근에 한국 개발자가 직접 지은 책을 볼 기회가 없었는데..

번역서 포함 최근에 읽은 서적중에 가장 맘에 드는 책이었다.

Posted by headiron
,

한빛 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학교에서 전산 관련 역사를 배우면 늘 첫 컴퓨터로 1940년대의 ENIAC을 얘기하고 그 이후로 1980년 대의 PC혁명을 얘기한다. 

( 물론 요즘은 어떻게 배우는 지 잘 모르겠다.)

ENIAC이후로 대형 시스템이 발전해 왔고, 어떤 계기로 PC혁명이 일어나게 되어 지금의 순간이 되었을 텐데 그 세세한 역사에 대해서는 한 번도 배워볼 기회가 없었다. 심지어 전산을 전공하고 25년 넘게 Field에서 일한 나에게도 말이다.

 

이 책은 PC 혁명이 일어나게된 역사적 계기를 세가지 큰 흐름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1. MIT TMRC 동아리와 인공지능 연구소 가 이끈 PDP 등의 중/대형 컴퓨터에서의 해커들의 활동 ( 1950~1960년대 ) 

2. 실리콘 밸리 일대의 북부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H/W 해커들의 PC 를 탄생시키기 까지의 활동 ( 1970년대 )

3. PC의 활성화를 불러온 게임 해커들의 활동 ( 1980년대 ) 

 

그 중에서도 실질적인 H/W 혁명을 이끌어온 북부 캘리포니아의 H/W 해켜들의 활동이 눈 길이 많이 갔다.

우리에게는 워즈니악이 너무 알려져 있었지만...

워즈니악은 그냥 나온 천재만은 아니었고, 리 펠젠스타인 같은 많은 이들의 노력이 워즈니악과 같은 천재를 만들어 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역사를 얘기할 때 전공자들은 늘 사건이 왜 이러나게 되었는지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많이 얘기한다. 

IT에서 일하는 우리도 이제는 왜 IT 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체계적인 흐름을 얘기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 까 싶다.

이 책은 그러기 위한 하나의 베이스가 될 수 있는 그런 책이라고 생각이 든다.

 

모든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그런 책을 읽게 되어 너무도 기쁜 지난 한 달 이었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 투자  (0) 2021.10.27
텐서플로 라이트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딥러닝  (0) 2021.08.18
린 AI  (0) 2021.06.14
처음 배우는 데이터 과학  (0) 2020.12.17
러닝 리액트  (0) 2020.11.20
Posted by headiron
,

린 AI

책이야기 2021. 6. 14. 12:23

아래 서평은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작년 한 해 동안 나는 리뷰어 하면서 꽤 좋은 책들을 무료로 읽었는데.. 

고맙게도 다시 한 번 기회가 되어 올해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다시 시작하면서 읽게 된 책은 "린 AI" .

사실 아직 린 방법론에 대해서 공부하지 안아서 검색해보니 wiki에 정말 자세히 잘 나와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Lean_startup

 

Lean startup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Early business development tool Lean startup is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businesses and products that aims to shorten product development cycles and rapidly discover if a proposed

en.wikipedia.org

조금 부끄러운 얘기 지만.. 회사에서 어느순간부터 MVP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데 위에 Wiki를 읽고 서야 뭘 얘기하는 줄 알게 되었다.

참.. 왜 이렇게 새로운 용어들 / 방법론들이 나오는 지... :-( 

 

어쨋든.. 책은 Lean 방법론에서 AI를 어떻게 접목 할 것이냐에 대해서 화두를 던지는 그런 책이다.

특히나 Startup으로써 어떻게 Business를 이끌어 갈 것인가 그리고 AI는 Startup에서 어떤 역활을 할까에 대한 화두를 준 책이다.

 

이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 져 있는데..

Startup의 Marketing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부터 설명하며

어떻게 하면 Marketing에서 AI를 접목하여 Startup이 성공해 나갈 수 있을 까를 얘기 한다.

 

엔지니어로서 기술적인 디테일이 없음은 아쉽지만,

Marketing 전반의 내용을 다루다 보니 내가 있는 Ad biz 관련 내용도 꽤 많아 도움이 많이 되었다.

 

Lean  방법론을 공부하고 본다면 더 많은 걸 얻을 수 있을 것 같고..

새로운 Biz를 준비 하는 창업 준비생들과 Startup의 기획/마케팅 파트의 직원들은 꼭 한 번 읽었으면 하는 그런 책이었다. 

 

갠적으론 후반부에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순 반복적인 업무는 AI에게 맏기고, 사람은 좀더 창의 적인 일을 하자 

는 문구가 이 책 전반을 관통하는 그런 문구인것 같다.

Posted by headiron
,

1년간 했던 한빛 미디어 도서 리뷰. 드디어 12월 도서 리뷰를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책 읽는 기간이 짧아서 좀 고생(?) 했는데...

Complain이 있었는지 한빛 미디어 에서 기간도 좀더 주고, 마침 코로나 때문에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서 좀더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매달 강제적으로 책을 읽게 되어 다시 예전처럼 공부하는 습관이 생기게 된 것 같다.

 

가능하면 내년에도 계속 하고 싶은데 어떻게 될지...

 

이번달에는 "처음 배우는 데이터 과학"을 리뷰학게 되었다.

워낙 버즈워드처럼 되어 버린 데이터 과학을 좀 공부해볼까 싶어서 읽었는데... 

 

일단 다루고 있는 분야가 정말 많았다. 프로그래밍 , 수학 , 머신러닝...

생각해보면 큰 데이터 가공을 하려면 프로그래밍도 해야 하고,

수학기반으로 통계를 구해야 하고.

머신러닝도 해야하고.

 

뭐.. 그러니 데이터 과학자들이 공부해야 분야가 많은 건 당연지사.

그래서 많은 부분을 다루었다는 건 이해했는데...

 

아쉬운 건 모든 것들을 수박 겉핡기 같이 훓어 버린 느낌이 든다.

또다른 문제는... 어떤 부분은 정말 초보자를 위한 내용이 보이는 반면 어떤 부분은 꽤 난이도가 있어 이해하기 어려웠다.

솔직히 어떤 독자를 타겟으로 했는지 조금 의구심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과학자를 위한 기술적인 내용을 기술하다보니 기대했던 실무적인 예제들이 좀 아쉬웠다.

하긴... 개인 프로잭트가 아니라면 회사일을 공유하기는 어려우니...

 

어쨋든 데이터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입문서로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인것 같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 광기의 랩소디 : 세상을 바꾼 컴퓨터 혁명의 영웅들  (0) 2021.07.25
린 AI  (0) 2021.06.14
러닝 리액트  (0) 2020.11.20
분산원장 기술  (0) 2020.10.23
처음시작하는 딥러닝  (0) 2020.09.21
Posted by headiron
,

러닝 리액트

책이야기 2020. 11. 20. 11:51

지난 10년 넘게 Front End 쪽 업무를 하지 않고, 그 동안 jQuery , Angular, React같은 Trend가 변하는 걸 지켜 보고만 있어야 했다.

 

그러다 안 되겠다 싶어 React를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책을 볼 때는 이해가 되는데.. 막상 실제 코드를 보다 보면 이해 가지 않는 문법들이 많았다.

 

그러다 이번에 "러닝 리액트"를 읽게 되었는데...

 

사실 처음부분은 초심자에 너무 Focus되어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했었는데.. 

ES6관련 자바스크립트 변경에 대한 좀더 깊이 있는 해설과 리액트의 사상등의 설명을 듣다 보니 이해가 많이 되었다.

 

인터넷 강의에서는 create-react-project로 자동 생성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명하다보니 각 Plugin에 대한 이해보단 코딩에 대해서만 집중하게 만들었는데... 이 책은 각 Plugin을 하나씩 적용하면서 왜 필요한지를 설명해 주니 쉽게 이해가 되었다.

 

그리고 테스트 관련 부분 예제도 좋았고, 꽤 이해하기 힘들었었던 리덕스에 대해선 이렇게 쉽게 설명이 가능한 주제 였구나 싶었다.

 

한가지 아쉬운 건 서버 관련 챕터에서 API를 이용한 서버 통신이 아닌 Client에서 실행되는 코드를 서버에서 실행하는 

어찌보면 예전 Fat Server형태의 구현 코드를 보여주는 부분이 아쉬웠다.

 

그런 부분을 제외한다면 React 초보자나 다른 책을 읽고도 React에 대한 감을 잡기 어려운 사람에게는 꽤 훌륭한 Reference Guide라고 생각된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린 AI  (0) 2021.06.14
처음 배우는 데이터 과학  (0) 2020.12.17
분산원장 기술  (0) 2020.10.23
처음시작하는 딥러닝  (0) 2020.09.21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0) 2020.05.25
Posted by headiron
,

분산원장 기술

책이야기 2020. 10. 23. 06:33

지난 달 5년 넘게 같이 일하던 Dawid이 코인베이스라는 회사로 옮겼다.
바로 그 때 한빛 미디어 도서 리뷰 목록에 Block Chain을 다루는 "분산원장 기술"이 보여 이 책을 선택했다.

 

몇 년 전 Meetup을 가면 Scala만큼이나 많이 각광받던 기술이 Block Chain인데...

어느 순간엔가 서서히 사라져 가는 이름이 되었다... Scala 처럼. :-( 

 

거의 잊혀져 가는 Scala에 비해서 그래도 Block Chain은 가상화폐 때문인지 거품이 꺼질지언 정 사라져가지는 않는 느낌이다.

 

일단 책 구성이 약간 논문을 읽는 느낌이 들고... 그러다 보니 설명이 좀 딱딱하다..

Block Chain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려 하는데...

그러다 보니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나 같은 사람에게는 많이 어렵게 다가왔다.

 

그래도 제반 기술 전반적인 설명이 나오는 건 괜찮게 느껴진다..

 

모르는 분야의 내용을 단기간에 이해하기는 좀 힘들었다.

지금 당장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몇 번더 읽어보면 Black Chain에 대한 더 깊은 지식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 배우는 데이터 과학  (0) 2020.12.17
러닝 리액트  (0) 2020.11.20
처음시작하는 딥러닝  (0) 2020.09.21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0) 2020.05.25
Head First Go  (0) 2020.04.26
Posted by headiron
,

한빛 미디어 도서 리뷰.

이번 달은 "처음 시작하는 딥러닝"

 

일단 나는 딥러닝을 정말 배우고 싶다. 그래서 몇 권의 책을 읽었다.

그런데... 알듯말듯 한.. 그 느낌... 딱 그런 상태이다.

 

모든 사람들이 항상 얘기 하는 그런 이론 적인 부분을 조금더 쉽게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Regression, CNN, RNN을 이론에서 NumPi로 low level의 코드까지 작성하며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뒷장에서는 앞장에서 만큼의 자세한 설명이 조금 부족한 듯 하지만...

그래도 처음부분에서 개념을 워낙 잘 설명해 주기 때문에 아쉼움은 들지 않는다..

 

다만 코딩을 실제 구현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이 조금 부족하긴 한데..

그런 부분까지 자세히 설명한다면 아마도 책 분량이 두 배는 늘어나지 않을까..

 

바로 딥러닝을 시작하기는 어려울 수 있어도 적어도 딥러닝의 기초 개념을 잡고 다음단계를 넘어 가기에는 정말 최고의 책이 아닌가 싶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닝 리액트  (0) 2020.11.20
분산원장 기술  (0) 2020.10.23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0) 2020.05.25
Head First Go  (0) 2020.04.26
아웃라이어  (0) 2009.09.28
Posted by headiron
,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한빛 미디어 베타리뷰어도 당첨이 되었다.

이렇게 강제 되지 않으면 공부 안할 게 뻔해서..

몇 가지 이유로 본의아니게 여러 부분 ( C, Scala.. )을 한 꺼번에 공부하는 요즘 에도  

늘 마음 한 구석에 불안한 부분은 요즘 자바를 너무 안 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특히나 스프링은 예전 3.X 사용한 이후로 너무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고,

특히나 스프링 부트를 직접 써본적이 없어 아쉬웠는데... 

나름 기대를 해 보았는데..

 

책 서문에서 부터 스프링을 어느정도 알고 있는 사람을 위한 책이라고.. :-( 

실제로 읽어 보니 그렇다...

 

이 책은 스프링/ 스프링 부트 입문서 라기 보다는

스프링 부트를 알고 있는 사람이 스프링 부트 개발 이후 신경 써야 할 실무적인 부분을 많이 다루고 있다.

일본인 특유의 실전적인 지식을 위한 책이라고나 할까.

 

스프링 부트를 기대했던 나에게는 아쉬웠지만 내용 자체는 꽤 괜찮았다.

실무에서 개발을 하다보면 반드시 알아야할 도커, 쿠버네이트, 프로메테우스 등 

내가 실제로 회사 업무를 하면서 다루어야 했던 많은 기능들이 설명되어 있었다.

예전과 다르게 개발자들이 DevOps 부분도 다루어야 하는 요즘의 개발 환경에서는 꽤 괜찮은 서적이다.

 

물론 각 분야의 내용을 깊게 다루지 않아 아쉽지만

어디까지나 이 책은 스프링 개발자가 갇추어야 하는 다른 배경 지식을 다룬 책이니

더 공부하고 싶은 부분은 다른 책을 보는게 당연하다 싶다.

 

스프링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비추천..

스프링 개발 이후의 배포/운영 등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추천...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원장 기술  (0) 2020.10.23
처음시작하는 딥러닝  (0) 2020.09.21
Head First Go  (0) 2020.04.26
아웃라이어  (0) 2009.09.28
<조선왕 독살사건> 이덕일 저자 강연회...  (0) 2009.03.12
Posted by headiron
,

Head First Go

책이야기 2020. 4. 26. 21:00

 

한빛 미디어의 나는 리뷰어다 이벤트로 "Head First Go"를 읽게 되었다.

해외 거주자라고 E-Book으로 전달 받았는데.. 500 페이지가 넘는 걸 보고 어마다... 이걸 어째 했는데..

기술 서적 읽어 본 중에 500 페이지가 넘는 책을 10일 이내에 읽어 보기는 처음 인듯 싶다.

그 만큼 내용이 쉽게 써져 있어서 어렵지 않게 책장을 넘길 수 있었다.

예제 프로그램도 쉽게 되어 있어 직접 따라 하기도 쉽게 되어 있다.

한글 번역도 꽤 잘되어 있어서 굳이 비싼 원서를 주고 살 필요가 없겠다 싶었다.

특히 맘에 들었던 것은 "부수면서 배우기" 코너이다.

예제 코드에서 어떤 부분을 잘못 하면 어떤 에러가 발생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잘 써놓았다.

직접 프로그램에 에러를 만들어 보고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지를 직접 경험해보면 

실제 언어를 사용할 때 겪을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경험하며 배울 수 있는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이 된다.

다만 전체적인 독자 대상이 초급자에 맞춰져서 인지 

Go 언어의 깊이 있는 내용 ( 특히 Go Routine ) 이 다뤄 지지 않았는데 

Go 언어를 처음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적극 추천해 줄만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예전에 "Head First Design Pattern" 읽고 실망해서 "Head First" 시리즈는 가능하면 피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Head First" 시리즈의 문제는 아니다 싶다.

별 점을 매긴다면 4.5 / 5 정도를 주고 싶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시작하는 딥러닝  (0) 2020.09.21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0) 2020.05.25
아웃라이어  (0) 2009.09.28
<조선왕 독살사건> 이덕일 저자 강연회...  (0) 2009.03.12
나쁜 사마리아인들  (0) 2008.11.23
Posted by headiron
,